건축/기타

시추주상도 이해

@Grilled_Cabbage 2025. 4. 21. 16:16
728x90
반응형

 

 

시추주상도

지반조사를 통해 지층의 성질, 구조, 물리적 특성 등을 기록한 도면

 

시추주상도 상단

 

 

상단 기본 정보

  • 조사명
  • 발주처
  • 위치
  • 좌표
  • 굴진심도(GL, m): 30m → 시추를 30미터 깊이까지 진행함
  • 케이싱심도: 9m → 시추공이 무너지지 않도록 강관(케이싱)을 박은 깊이
  • 지하수위: 8.2m → 지하수는 약 8.2미터 지점에서 관측됨
  • 사용장비 → 시추용 장비명
  • 시추방법: 표기 없음(일반적으로 회전식 또는 타격식)
  • 시추자 / 조사자

 

 

 

시추주상도 구성 항목

 

 

표의 주요 구성 항목


심도(-m) 지표면에서부터의 깊이
표고(m) 해수면 기준의 높이
층후(m) 각 지층의 두께
주상도 지층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부분 (무늬로 구분)
지반명 / 색조 각 지층의 이름과 색상 (보통 채색은 생략됨)
현장관찰기록 채취한 시료의 상태, 구성물질, 습윤상태 등
코아회수율(%) 코어 시료가 얼마나 잘 회수되었는지 (%)
시료번호 / 채취방법 시료 종류와 채취 방식 (DS: 교란시료, DC: 더블튜브)
심도 및 시료형태 어느 심도에서 어떤 시료형태인지
표준관입시험(N값) 지반의 상대밀도나 강도를 평가하는 수치. 오른쪽 그래프 (BLOWS/cm)

 

시추주상도 지층 분석

 

지층 해석

  1. 0.3m까지
    • 지반명: 퇴적토층 (갈색)
    • 상태: 실트질 사질토(Silty Sand), 보통 조밀, 습윤
    • 연약하거나 느슨한 지층으로 추정됨
  2. 0.3m~5.0m (약 4.7m 두께)
    • 지반명: 풍화토층 (갈색)
    • 상태: 실트질 사질토, 보통 조밀, 습윤
    • 점점 조밀한 상태로 바뀌는 풍화된 지층
  3. 5.0m~9.0m (4.0m 두께)
    • 지반명: 풍화토층 (갈색)
    • 상태: 실트질 사질토, 매우 조밀, 건조
    • 점차 건조하고 밀도가 높은 지층으로 변함
  4. 9.0m~30.0m (21.0m 두께)
    • 지반명: 풍화암층 (갈색)
    • 상태: 실트질 사질토에서 풍화된 암석, 매우 조밀, 건조
    • 풍화가 많이 진행된 암반으로, 기초로 적합할 수 있음

 

표준관입시험 결과 (SPT, N값)

  • 우측 그래프에서 파란색 선과 네모 박스가 **표준관입시험(N값)**
  • 예를 들어, "7/30"은 30cm를 박는데 7회 타격이 필요했다는 의미고, N값은 7
  • 일반적으로:
    • N < 4: 매우 연약
    • N 4~10: 연약
    • N 10~30: 보통
    • N > 30: 조밀하거나 단단한 지반
    • N ≥ 50: 타격이 거의 불가능한 강한 지반 (암반 또는 매우 단단한 층)
  • 본 시추에서 11.3m 이후부터는 대부분 N값이 50 이상이며, 매우 단단한 지층

 

 

시추주상도

 

 

 

지반층 종류 및 지지력

 

 

 

지반층 종류 및 지지력

지반층 종류 및 지지력 (약한 순 → 강한 순) 지반 종류 특징 상대밀도/강도지지력 특성 연약점토 (Soft Clay)유기물 포함, 수분 많음, 압밀에 시간 소요매우 낮음지지력 매우 낮고, 침하 발생률 높

daisylyn.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