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특별피난계단
- CAD
- 오피스텔
- 건축법 시행령
- 부설주차장 설치기준
- 방화지구
- 건축허가
- 승강기 설치기준
- 문화재 보존영향
- 건축법
- 녹색건축물
- 면적산정
- 에너지절약설계
- 바닥면적
- 부설주차장
- 주택건설기준
- 존맛탱
- 내단열
- 내돈내산
- 공동주택
- 방화구조
- 외단열
- 사업계획승인
- 주택법
- 가중평균
- 발코니
- 에너지절약계획서
- 내화구조
- 건축물방화구조규칙
- 맛집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2)
Grilled_Cabbag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uGmcH/btraqSLPpkx/ZAmlDroEP5y20N2mDJj9KK/img.jpg)
영업시간 화~일 12:00~24:00 브레이크 타임 15:00~17:00 요즘 황리단길, 송리단길처럼 대전에도 있는 갈리단길! 갈마동에 있는 먹자 골목이라 갈리단길이라고 불리고 있다. 그중에서도 후식 당근케이크가 유명한 일식집 프레쉬맨! 연어 플레이트 부터 키조개 리조또까지 다양한 메뉴가 있다 우리가 주문한건 연어 사시미 플레이트와 키조개 리조또다 해산물의 비린 맛을 즐기지 못해 우니 들어간 메뉴는 스킵... 하지만 다른 테이블들은 다들 맛있게 잘먹더라 좋겠다...ㅎ 연어 사시미 플레이트에는 숙성시킨 연어로 다양한 부위가 골고루 나온다 같이 나온 밥에는 후리가케가 뿌려져 있어서 연어를 올려 연어 덮밥으로 먹어도 좋고 초밥을 만들어 먹어도 좋았다 키조개 리조또는 무서운 아는맛! 소스와 위에 갈아서 뿌린 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YYMF/btrapFeSnIP/vnB9IOhbRduJc2qXQa1Kqk/img.png)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내화구조 및 방화구획 건축물 차원의 방화요건 건축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법」이 가장 크게 염두에 두는 위험은 화재다. 따라서 건축법(「건축법」, 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 및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은 화재를 예방하고 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들을 건축물의 용도 및 건축규모 등에 따라 건축허가요건으로 정하고 있다. 방화요건은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건축물에 집중하여 관리하고 있다. 목적상으로는 ①화재의 예방, ②확산방지로 구분하고 있고, 구조적 차원에서는 ①내화구조와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 ②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방화요건 규정은 내용상으로 볼 때, ①내화구조 건축물의 방화구획의 설치, ②내화구조가 아닌 1,0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O51O/btranymybN9/LLsARB4mvOgHSTDBewhuk1/img.jpg)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발코니의 정의 발코니와 노대 건축물 통계에 의하면 전체 건축물 중 66.1%가 주거용이다1). 또한 전체 가구의 주택 유형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 비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약 50%에 이르고 있다2). 결국 우리나라 전체 건축물을 놓고 보면 아파트가 33%라는 의미이다. 발코니는 아파트와 함께 1950년대에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이후 다세대 및 연립주택에도 발코니가 계획되었다. 이를 통계적 의미로 다시 살펴보면 발코니가 있는 공동주거에 거주하는 비율은 약 60%가 된다는 것이다. 이 비율 자체가 시사하는 바도 크지만, 공동주거 형식의 다가구주택 역시 발코니가 계획되어 있으나 「건축법」 상 단독주택으로 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Oowp/btraoCoqFPD/XY60rxkkkhelrNyok2qIP0/img.jpg)
카페 그리네 요새 노티드 도넛에 빠져서 먹고 있었는데 쿠팡이츠를 보다보니 이거슨 JMT각인 카페를 발견..!! 근데 맛이 있을까 싶어서 장바구니에만 담아두고 몇날며칠을 구경만 하고있었는데 (원래 좀 신중한편,,^^,,,,, 고민시작하면 보통 1년은 고민하는편,,,ㅎ,,,,,,,) (겨울에 호떡 먹고싶어서 먹을까 말까 고민을 3년 한 사람,,,ㅎ,,,,,,) (호떡사먹을라고 챙긴 만원을 3년 들고다님,,,,ㅎ,,,,,,,) 오늘은 두통이 너무 심해서 늦잠자고 일어나서 밥도 해먹고 후식까지 먹었는데 유튭을 보면서 그리네 카페가 생각이나서 구경하다가 다시 유튭을 봤지? 근데 갑자기 집에 호출벨이 울렸지? 무슨일이지? 했지? 핸드폰 화면이 보였지? 아니,, 누가 주문했어? 내가 나한테 서프라이즈 한거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vxsy/btraiv39oi8/7ENFKhechbF8BLsF5aYKRK/img.jpg)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층수 건축물의 층수 산정방법 건축물의 층수는 건축허가나 건축안전 등 건축법 적용에 있어 광범위하게 관여하는 기준이다. 사전적으로 층수란 지상이나 지하를 막론하고 슬래브1)의 켜의 수를 의미하지만, 「건축법」에서 층수는 지하층을 제외하고 지상 건축물의 층(구조 바닥, slab) 개수만을 말한다. 즉, 지상에 슬래브가 하나이면 1층 건축물 혹은 단층 건축물이며, 슬래브가 2개이면 2층이다. 그런데, 층수의 표현 방식은 나라마다 다를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표현방식이 「건축법」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표면 층부터 1층으로 부르는 반면, 우리나라에서 1층이라고 부르는 지표층을 ‘0’층 또는 ‘G(ground)'층이라고 하고, 우리나라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BJbo/btq936kKs7d/DrZWGArpq76UD5Pd3RLELk/img.jpg)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가중평균 평균높이 산정방법 「건축법」에서 높이와 관련된 규정의 기준은 실ㆍ내외를 막론하고 평균높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건축물이 평평한 대지에 건축되었다면 별문제가 없겠으나, 고저차(高低差)가 있는 경사지에 건축된 경우라면 측정 위치에 따라 높이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내 천장(반자)높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지붕이 경사져 있거나 혹은 다양한 높이로 천장을 디자인 했다면 높이 측정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법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는 판단기준이 있어야 하므로 이렇게 측정 위치에 따라 다른 높이 값이 생길 경우 「건축법」에서는 이들의 평균높이로 측정값을 인정하는데, 평균높이를 구하는 방식을 가중평균이라고 한다. 가중평균을 구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Qyvw/btradTjdWmi/f1uRLiSvwKxBLMh5mFWLHK/img.jpg)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바닥면적 산정의 예외 면적 산정 방법 A씨는 당초 「건축법」이나 건축 관계법에 적법하게 건축물을 건축하였다. 이후 건축물을 용도변경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려 하니 건축 관계법이 개정되어 관계법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부속시설물(옥외 계단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야만 용도변경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래서 부속시설을 설치하려니 바닥면적(연면적)이 증가하여 「건축법」에서 허용하는 최대 용적률1) 범위를 벗어나게 되었다. 결국 개정된 관계법에 맞추자니 위법한 건축물이 되는 것이다. 이 경우 A씨는 용도변경을 할 수 없는 것일까? 다른 예로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면적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머무는 공간이 아닌 물탱크 등(※건축물 중 건축물의 요건에서 「건축법」에서 ‘건축물’을 판단하는 추가해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9Ns0N/btrac79QqS2/vnZi8bxniH6cjIZpEJEks1/img.jpg)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바닥면적 면적 산정 방법 건축안전을 위해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축 기준의 적용은 ‘면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1). 건축 규제 기준이 되는 면적들은 바닥면적, 건축면적, 연면적이다. 때문에 「건축법」에서는 이들 면적 산정의 원칙을 규정(영 제119조)하여 법 적용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있다. 건축에서 ‘면적’은 일반적으로 벽과 기둥으로 둘러싸인 실내 부분의 면적을 의미한다. 그러나 건축물에 따라서는 실내·외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발코니와 같이 실내·외를 연결하는 완충공간으로서 건축 당시 외부 공간이었다가 추후 실내화되는 공간도 있어 단순히 실내 부분의 면적이라고만 이해할 수는 없다. 바닥면적 (Floor Area)과 연면적 (Total Floor Area) ‘바..